비바! K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바! K리그는 K리그의 다양한 소식과 심층 분석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남현종 아나운서와 축구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경기 결과 전달을 넘어 K리그를 더 깊이 이해하고 즐길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BS 1TV와 KBS 2TV에서 방송되었으며, 방송 시간과 분량은 변동되었다. 이재후, 이광용, 전인석, 정지원, 강승화, 박소현 등 여러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다. K리그1 경기 하이라이트, 선수 인터뷰, 이영표 해설위원의 분석, 축구 관련 노래 소개 등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축구 프로그램 - 청춘FC 헝그리 일레븐
안정환과 이을용이 공동 감독을 맡아 프로 데뷔에 실패하거나 기회를 얻지 못한 청춘 축구 선수들에게 재기의 기회를 제공하고 성장과 도전을 담아낸 2015년 KBS N SPORTS의 축구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 대한민국의 축구 프로그램 - 날아라 슛돌이
평범한 어린이들로 축구팀을 만들어가는 KBS 프로그램인 날아라 슛돌이는 2005년부터 여러 시즌 방송되었으며, 각 시즌마다 감독, 코치, 매니저, 어린이 선수들이 출연하여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K리그 - 슈퍼컵 (대한민국)
슈퍼컵 (대한민국)은 1999년부터 2006년까지 K리그와 FA컵 우승팀 간의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였으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최다 우승 구단이다. - K리그 -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1990년대 중반 대한민국 정부 주도로 프로축구 활성화를 위해 추진된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은 서울 연고 구단들을 지방으로 이전시켜 서울을 연고 공동 지역으로 만들었으나, 경쟁력 약화와 팬심 이탈을 초래하여 2004년 FC 서울의 복귀로 사실상 철폐되었다. - 한국방송공사의 스포츠 텔레비전 프로그램 - KBS 스포츠 9
KBS 스포츠 9은 KBS에서 방송되는 스포츠 뉴스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앵커들이 진행하며 '오늘의 영상' 코너를 통해 주요 스포츠 하이라이트 장면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스포츠 텔레비전 프로그램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는 1996년 창설된 국제 바둑 기전으로, 초기에는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이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으며, 프로와 아마추어 기사 모두에게 문호를 개방하여 조별 리그 후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결정하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온라인 대국으로, 2023년부터는 대면 대국으로 진행된다.
비바! K리그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비바! K리그 |
시청 등급 | 모든 연령 시청가 |
장르 | 스포츠 |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밤 12시 30분 ~ 1시 5분 |
방송 분량 | 35분 |
방송 기간 | 1기: 2005년 5월 4일 ~ 2013년 12월 1일 |
방송 채널 | KBS 2TV |
추가 편성 | KBS N 스포츠 |
제작 | KBS |
연출 | 현주희 |
작가 | 민혜경 |
진행자 | 남현종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외부 링크 | KBS 비바! K리그 홈페이지 |
비고 | 매년 시즌마다 한시적으로 방송되었음 |
2. 기획 의도
고품격 축구 토크 프로그램으로, 남현종 아나운서와 축구 전문가들이 K리그의 한 주간 소식과 뒷이야기를 전한다.
KBS 1TV와 KBS 2TV에서 방송되었으며, 주로 월요일 심야 시간대에 편성되었다. 방송 시간은 35분에서 60분까지 다양하게 변동되었다. 상세 방송 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3. 방송 시간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KBS 1TV 2005년 5월 4일 ~ 2005년 12월 7일 매주 수요일 밤 12:55 ~ 1:55 60분 2006년 8월 2일 ~ 2006년 11월 29일 매주 수요일 밤 12:30 ~ 1:30 2007년 4월 30일 ~ 2007년 11월 12일 매주 월요일 밤 12:35 ~ 1:25 50분 2008년 4월 7일 ~ 2008년 12월 8일 2009년 4월 20일 ~ 2009년 12월 7일 2011년 5월 2일 ~ 2011년 12월 5일 2010년 5월 10일 ~ 2010년 12월 6일 매주 월요일 밤 12:30 ~ 1:20 2012년 5월 14일 ~ 2012년 9월 10일 매주 월요일 밤 11:40 ~ 12:25 45분 2012년 10월 15일 ~ 2012년 12월 10일 매주 월요일 밤 11:40 ~ 12:30 50분 KBS 2TV 2013년 4월 14일 ~ 2013년 5월 5일 매주 일요일 밤 12:55 ~ 1:45 2013년 5월 12일 ~ 2013년 6월 2일 매주 일요일 밤 1:05 ~ 1:55 2013년 10월 27일 ~ 2013년 12월 1일 2013년 6월 9일 ~ 2013년 6월 23일 매주 일요일 밤 12:45 ~ 1:35 2013년 7월 21일 ~ 2013년 9월 22일 2013년 9월 29일 ~ 2013년 10월 20일 매주 일요일 밤 1:00 ~ 1:50 2016년 4월 25일 ~ 2016년 11월 7일 매주 월요일 밤 12:35 ~ 1:25 2017년 4월 3일 ~ 2017년 8월 28일 매주 월요일 밤 12:35 ~ 1:10 35분 2018년 4월 2일 ~ 2018년 10월 29일 2019년 4월 1일 ~ 2019년 10월 7일 2019년 10월 7일 매주 월요일 밤 12:30 ~ 1:05
4. 역대 진행자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이재후 2005년 5월 4일 ~ 2005년 12월 7일 2대 이광용 2006년 8월 2일 ~ 2006년 11월 29일 3대 이광용, 이정민 2007년 4월 30일 ~ 2007년 11월 12일 4대 이재후 2008년 4월 7일 ~ 2009년 12월 7일 5대 전인석 2010년 5월 10일 ~ 2010년 12월 6일 6대 차다혜 2011년 5월 2일 ~ 2011년 12월 5일 7대 전인석 2012년 5월 14일 ~ 2012년 12월 10일 8대 정지원[1] 2013년 4월 14일 ~ 2013년 12월 1일 9대 강승화, 정다은 2016년 4월 25일 ~ 2016년 11월 7일 10대 박은영, 강승화, 이광용, 박소현[2] 2017년 4월 3일 ~ 2017년 8월 28일 11대 이재후, 박소현[3] 2018년 4월 2일 ~ 2018년 10월 29일 12대 박소현[4] 2019년 4월 1일 ~ 2019년 10월 7일 [5]
5. 구성
참조
[1]
방송
KBS 아침뉴스타임 단독 여자앵커
[2]
방송
영화가 좋다 여자MC, KBS 뉴스 7 여자앵커
[3]
방송
영화가 좋다 여자MC, KBS 뉴스 7 여자앵커
[4]
방송
영화가 좋다 여자MC, KBS 뉴스 7 여자앵커
[5]
방송
박소현(42기) 아나운서가 단독 진행할 때 2019년 시즌 아쉽게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